본문 바로가기
정보

정월대보름 음식 행사 축제 안내

by 조이(zoe)야 2024. 2. 13.

한국의 명절 정월대보름은 1월 정월의 보름날을 말하며, 음력으로 1월 15일로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예부터 설날보다 더욱 성대하게 지냈던 명절인데 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아 설 연휴에 묻혀지내게 되었지만, 정월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부터 여러 풍속들과 행사, 축제를 행하며 정월대보름을 지냅니다.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는 전통 풍속인 정월대보름 음식, 행사,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정월대보름 축제까지 이 글을 통해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정월대보름 행사

 

 

정월대보름 음식

 

 

정월대보름은 설날과 같이 휴일로 정해지지 않아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지만, 오늘날까지 다양한 전통 풍속이 이어져오는 명절은 흔하지 않습니다. 정월대보름 아침이면 부럼을 깨고, 오곡밥을 지어 먹고,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등 다양한 놀이와 행사를 즐기는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의미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정월대보름 유래

 

2024년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1월 15일인 2월 24일입니다. 

 

  • 정월대보름의 유래는 옛 신라시대 소지왕이 정월 대보름날 천천정으로 행차하던 중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어 신하를 시켜 따라가게 했는데, 어느 연못 앞에서 놓치게 됩니다.
  • 곧 그 연못에서 노인이 나와 편지봉투를 주고 '그 편지를 읽으면 두 사람이 죽고,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입니다.' 라고 말하고 사라졌습니다.
  • 임금은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게 낫다 생각해 읽지 않으려 했는데, 신하가 그 한 사람이 전하를 말하는 것 같다고 말해 편지를 꺼내 읽습니다.
  • 그 편지에는 '거문고 갑을 쏘시오'라고 적혀있었고, 즉시 활을 쏘니 임금을 헤치려 했던 한 왕비와 중이 죽어있었습니다.
  • 그 뒤로 정월대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해서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생겼다 합니다.

 

정월대보름 음식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과 보름나물, 귀밝이술, 팥죽과 약밥을 지어 먹고, 부럼 깨기 등의 풍습이 있습니다.

 

▶ 부럼 깨기

  • 만사형통과 무사태평을 기원
  • 정월대보름 아침에 나이 수만큼 부럼을 깨물어 먹는 풍습
  •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비는 관습

▶ 오곡밥(찰밥)

  •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잡곡밥
  • 찹쌀, 기장, 수수, 서리태, 적두를 넣은 오곡밥은 하루에 아홉 번 먹는 풍습
  • 자주 여러 번 먹는 것은 한 해 동안 부지런하게 일하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 보름나물

  • 무, 오이, 가지, 호박, 고사리, 버섯 등 말린 나물로 9가지 나물을 만들어,
  • 오곡밥과 함께 양푼에 가득 담아 김과 산나물을 곁들여 먹는데, 이를 복쌈이라 하여
  • 쌈을 먹으므로 복을 가득 담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입니다.

▶ 귀밝이술(이명주)

  • 이른 아침에 부럼을 깨는 것과 동시에 찬 술을 마시는 관습
  • 귓병을 막아주고, 1년간 좋은 소식만 듣기를 희망하는 술

▶ 팥죽, 약밥

  • 대추, 밤, 감 등으로 약밥을 만들어 먹고,
  • 팥죽을 만들어 먹으며 악귀를 쫓아낸다는 관습

정월대보름정월대보름_1정월대보름_2
정월대보름_3정월대보름_4정월대보름_5
[사진 :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 행사

 

 

정월대보름 풍습

 

  • 정월대보름 전날 아이들이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니는 풍습
  • 이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믿어 잠을 참으며 날을 샌다.
  • 아침이 되면 부럼을 깨고, 귀밝이술 마시기
  • 새벽에 '용물뜨기', 첫 우물을 떠서 거기에 찬밥을 띄우는 '복물 뜨기'
  • 자정에 달집태우기와 쥐불놀이를 하며 행사를 마무리합니다. 

 

정월대보름 놀이

 

▶ 다리밟기

  • 다리를 밟아 밟은 사람의 다리가 튼튼해지라는 의미

▶ 달맞이 행사

  • 초저녁에 달을 맞이하는 행사
  • 보름달을 보며 소원 빌기

▶ 달집태우기

  • 정월 대보름날 달이 뜰 때 모아놓은 짚단과 생소나무를 가지를 묶어 쌓아놓은 '달집'을 불에 태워,
  • 풍년을 기원하며 소원을 비는 행사

▶ 더위팔기

  • 남에게 더위를 파는 풍속

▶ 액막이 연

  • 연을 날리다가 줄을 끊어 연이 멀리 날아가게 하는 의식

쥐불놀이, 사자놀이, 낙화놀이, 줄다리기 등 다양한 놀이들로 정월대보름을 보냅니다.

정월대보름_6정월대보름_7정월대보름_8
정월대보름_9정월대보름_10정월대보름_11
정월대보름_12정월대보름_13정월대보름_14
[사진 :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 축제

 

 

정월대보름에는 전국 곳곳에서 정월대보름 풍습을 체험하고, 다양한 놀이들로 정월대보름을 보내는 축제가 펼쳐집니다. 가까운 축제 정보를 확인하셔서 놀이와 음식들로 정월대보름을 함께 즐겨보세요.

 

정월대보름 축제

 

▶ 국토 정중앙 달맞이 축제

  • 일정 : 2024. 02. 24.(토)
  • 장소 : 강원 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박수근로 366-33
  • 입장료 : 무료
  • 내용 : 새해 소지 쓰기, 쥐불놀이, 달집태우기, 민속놀이 경기, 향토음식점 운영, 체험 행사

▶ 삼척 정월대보름제

  • 일정 : 2024. 02. 23.(금) ~ 02. 25.(일) / 3일간
  • 장소 : 강원 특별자치도 삼척시 엑스포로 45
  • 입장료 : 무료
  • 내용 : 개막행사, 제례행사, 문화재 행사, 민속놀이 행사, 체험행사, 공연 등 
  • 초대가수 : 안성훈, 나상도, 박군, 박상철, 현숙, 강진, 문연주, 김다나, 채윤, 하가빈, 허찬미, 김추리, 신대양, 추혁진, 오강혁, 남산

▶ 송도 달집축제

  • 일정 : 2024. 02. 24.(토)
  • 장소 : 부산광역시 서구 송도 해변로 100
  • 입장료 : 무료
  • 내용 : 민속놀이, 떡메치기, 전통놀이 참여, 소망 쓰기, 소망 연 만들기 등

▶ 순창 달달 놀이

  • 일정 : 2024. 02. 24.(토)
  • 장소 : 전북 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장류로 55
  • 입장료 : 유 / 무료
  • 내용 : 주말장터, K-FOOD 존 운영, 전통놀이, 정월대보름 체험존, 정월대보름 대동제 등

▶ 여주 남한강 대보름 달집태우기 축제

  • 일정 : 2024. 02. 24.(토)
  • 장소 :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575
  • 입장료 : 무료, 유료
  • 내용 : 달집태우기, 승마체험, 연날리기, 소원종이접기, 쥐불놀이 등

▶ 청도 정월대보름 민속 한마당

  • 일정 : 2024. 02. 24.(토)
  • 장소 : 경상북도 청도군 한내길 166 청도군 농업인 회관
  • 입장료 : 무료
  • 내용 : 달집태우기, 읍면 풍물경연 대회, 소원지 쓰기, 세시음식 나누기, 떡메치기, 전통놀이 체험 등
  • 축하공연 : 가수 민수현

정월대보름_15정월대보름_16정월대보름_17
정월대보름_18정월대보름_19정월대보름_20
[사진 : 정월대보름 축제]

 

 

오늘은 음력 1월 15일 한국의 명절 정월대보름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렸습니다. 정월대보름은 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아 잊고 지나갈 수 있는데 예부터 전해져오는 정월대보름 음식과 놀이를 통해 정월대보름의 다양한 풍습을 익히고 함께 즐기는 정월대보름 행사와 축제로 2024년 정월대보름을 함께 체험해 보세요. 

 

정월대보름 행사_1